임상시험의 DSMB (data safety monitoring board)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 곳일까?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을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초기 임상시험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임상시험 수행 중 일어나는 이상사례를 포함한 안전성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단계로의 임상시험 진행이라던 지, 해당 임상시험의 용량 증량 등을 recommend할 수 있는 독립적인 안전성 모니터링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의 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지의 내용을 살펴보면, DSMB란

"수행 또는 계획 중인 임상시험 별로 필요에 따라 구성되 는 DSMB는 해당 연구와 독립적인 외부 전문가들로 이루어 진 위원회로서, 피험자 모집이 진행됨에 따라 환자로부터 수집되는 자료들을 눈가림이 이루어진 상태로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피험자의 안전에 대한 위해 가능성을 검토 하고, 필요한 조치에 대한 권고안를 제시하거나, 필요에 따 라서는 시험의 조기종료의 타당성 여부 등을 권고하는 역할 을 담당한다."
위와 같은 역할, 목적을 가진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 추가하는 글.
식약처가 제공한 '독립적인 자료 모니터링 위원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민원인 안내서) 2009.09.16에 따르면,
임상시험에 대한 최종책임은 임상시험의뢰자와 시험자에게 있으나,
각 임상시험의 특정영역을 감시하는 집단들 'IRB, 임상시험 운영위원회 (Steering committees), endpoint 평가/판정위원회, 임상모니터링팀 및 시험자' 등이 있다.
책무와 구성에 관해서는 아래의 식약처 가이드라인을 좀 더 참고하여 볼 것.

'의약품 임상시험 지식창고 > 임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T 번호란? (5) | 2022.03.21 |
---|---|
SDV(source document verification)이란? (6) | 2022.03.16 |
임상시험용 의약품과 이상사례와의 연관성 기준? (WHO-UMC) (2) | 2022.03.10 |
기초감염재생산수 (R0)란? (17) | 2022.03.07 |
A/G ratio (Albumin-Globulin ratio) 란? (2)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