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1/Th2 분극화가 면역반응 확인할 때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의 개념확립에 이해를 돕고자 본 포스팅을 작성하였다.
내용 skip해도 좋음--------------------------------------------------------------------------------------------------------------
잠시 딴 길로 빠져보자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는 호흡기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이다.
Pandemic 상황의 코로나19 또한 이 RSV 에 속한다.
RSV 쉽게 감염되는 소아의 경우, enhanced respiratory disease (ERD)로 가지 않기 위하여 RSV 백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ERD의 기전은 현재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거의 모든 소아가 4세 이내에 이 바이러스에 걸릴 수 있다.
formalin-inactivated RSV 백신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지만, 적절한 양의 중화항체 유도가 힘들고, 면역활성화로 인해 결합항체의 과도한 증가, 과민반응이 일어나거나, 적절한 수준의 T 세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게 힘든 것이 현 상황이다.
*중화항체/결합항체 참고.
중화항체란? 결합항체란?
중화항체, 결합항체 차이란 무엇인가? 중화항체란 한마디로 functional antibody, neutralizing antibody라고 할 수 있고, 결합항체란 overall antibody, binding antibody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바이..
chejic.tistory.com
또한, 위의 백신의 면역계의 작용 때문에 백신자체가 ERD를 일으키는 것도 SARS-CoV와 MERS-CoV를 통해 확인된 바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Th2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ERD의 위험도가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T cell response를 확인하는 것이 Coronavirus 백신 개발에 있어서 중요할 수 있다.
-----------------------------------------------------------------------------------------------------------------------------------
Th1/Th2 세포는 균형을 이루는 상태가 좋다. 그러나, Th1이 강해지게 되면 Th2 가 약해지게 되고, 반대로 Th2가 강해지게 되면, Th1이 강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tumor progression에서의 Th1/Th2의 balance는 Th1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면역반응이 촉진되어 암세포의 과도한 증식을 막고, Th2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적응면역의 down-regulation으로 인해, 결국 암세포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Infection 상황 (inflammation 상황) 에서의 Th1/Th2 balance는 어떨까?
아래는 parastic infection시에 나타나는 Th1/Th2 면역반응에 대해 보여준 그림인데,
Th1 쪽으로 치우칠 경우, hypersensitivitivity를 막고,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고,
Th2 쪽으로 치우칠 경우, allergic response, 항체가 과도하게 생길 경우, autoimmune disease도 생길 위험이 있다.
따라서 Th1/Th2의 분극화 정도를 확인하는 것은 면역반응 확인, 질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의약품 임상시험 지식창고 > 임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혈구 지수 (RBC indices; MCH, MCHC, MCV)란? (0) | 2022.03.04 |
---|---|
IWRS (Interactive web response system; 쌍방향 웹 소통 시스템)이란? (0) | 2022.03.04 |
임상시험 기본문서의 종류? (0) | 2022.03.04 |
중화항체란? 결합항체란? (0) | 2022.03.03 |
데이터 관리 계획 (DMP)란? (0) | 2022.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