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MP란 무엇일까에 대한 궁금증으로 본 포스팅을 작성한다.

 

RMP란 Risk Management Plan의 약자로, 2015년 7월부터 RMP가 국내에서 본격시행되었다.

 

 

"RMP는 기본적으로 환자 안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미 알려진 위해성은 기본이고 +잠재적 위험성과 환자 혹은 전문가가 잊고 있는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위해성을 최소로 줄이는 동시에 의약품에 대한 객관적 사항을 알리는 것이 목표다" 

 

 

 

출처:

https://www.kpanews.co.kr/article/show.asp?idx=188709&category=E 

 

제약사 부담느끼는 'RMP', 어떻게 해야 하나 | 약사공론

지난 2015년 7월부터 RMP(위해성 관리 계획)이 국내에서 본격시행, 오는 2018년 4단계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제약사들의 고민은 더욱 커지고 있다. 가볍게는 포장방식 변경부터 시작해 투여금

www.kpanews.co.kr

 

 

 

코로나19 백신에서도 위해성 관리계획 작성방법 예시를 식약처에서는

코로나19 백신 위해성 관리계획 작성 고려사항(민원인안내서)로 제시하여 주고 있다.

 

 

 

참고: 식약처

https://www.mfds.go.kr/brd/m_1060/view.do?seq=14891&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 

 

코로나19 백신 위해성관리계획 작성 고려사항(민원인안내서) 상세보기|민원인안내서 | 식품의약

코로나19 백신 위해성관리계획 작성 고려사항(민원인안내서) 「코로나19 백신 위해성관리계획 작성 고려사항 (민원인안내서)」를 제정하여 동 자료를 게시하오니, 관련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

www.mfds.go.kr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안전성 중점검토항목, 유효성 중점검토항목, 코로나19 백신 감시계획, 위해성완화 조치방법 및 효과성 평가 지표 작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